(C) BANPRESTO

오오미....이거 뭐 고작 1회차 클리어인데 너무나도 많은 시간이 걸렸군요;; 한 50화까지 진행하고 갑자기 판타지 라이프에 빠졌다가 뜬금없이 라이어소프트 신작을 달린뒤, 언체인 블레이드 렉시아로 마무리;;;

 

각설하고 슈로대 오리지랄애들만 모아 만든 2차 OG입니다......어차피 유명한 게임이고 감상글도 오지게 많으니 단순하게 필자가 이번작품에서 느낀점 위주로 나가도록 하지요.

 

1.  오리지널 캐릭들.....

흠.....여태까지 og, og2, 외전이 나온걸로 아는데...이번 2차에 이르기까지 과거의 오리지널들이 대다수 소모됬다는 느낌입니다. 뭐 슈퍼히어로 작전이나 리얼로봇메니지먼트 아리에일, 로아까지 나왔으니 이제 나올만한 작품들은 타 작품군이 아닌 슈로대 정통 넘버링의 오리지널 캐릭들 뿐이라고 보입니다.

 

2. D를 위한 이번 작품

필자가 끝까지 클리어하지 못한 슈로대가 D입니다;; 근데 이번작품은 정말 D로 시작해서 D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더군요;;

 

뭐 2차알파나 MX도 스토리 전반에 영향을 끼치긴 하지만 그래도 가장 인상에 남는건 D죠;; 게다가 연기에 연기를 거듭한 보람이 있는지 스토리흐름이 매끄러워 좋습니다.

 

뿌릴거 다 뿌리고 전작부터 시작해서 이번작품까지 회수할거 다 회수하고  차기작품을 위해 남길건 남기고.....이정도의 깔끔한 정리는 ps2의 슈로대 Z이후에는 보기 힘든 상쾌함이죠....

 

3. 아쉬운점은....

필자가 굉장히 맘에 안들은 점은 두가지 정도 있습니다.

(1)먼저....이루이와 아이비스의 관계....개별주인공 선택이 아닌 og의 특성상 이루이와 아군의 관계형성이 어느 특정인물이 아닌 전체적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이건 좀 실망인데요...왜냐면 2차알파에서 아이비스라는 캐릭이 개좌절한 인간말종에서 이루이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며 다시 꿈을 찾는다는, 기타 3인에 비해 월등히 설득력있고, 감동적인 전개를 가지기 때문이죠.

 

이번에도 특별히 아이비스와 더욱더 연관이 되었으면 더욱 좋았을텐데요...2차알파 전 주인공이 등장함으로서 깊은 관계가 약간 희석된듯한 느낌이더군요.....뭐 초기 이루이 구출이벤트는 구현이 되었습니다만, 필자는 만족못합니다;;

 

(2)베이스가 되는 스토리의 문제

과거 슈로대는 특출나게 튀어나가는 스토리가 없었습니다. 판권작의 짬뽕+약간의 오리지널로 보는게 좋겠죠.

하지만 슈로대 시리즈가 거듭되고 오리지널 캐릭과 이야기가 전면에 등장함으로써 그것이 기본 베이스가 되고 판권작들이 짬뽕으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지게 됩니다.

 

거기서 문제가 생기는데 이 오리지널 스토리들을 기반으로 한 슈로대 OG의 경우 과거에 즐겼던 슈로대 시리즈를 단순히 판권작이 아닌 오리지널기체를 사용하여 반복하는 느낌을 준다는 거죠.

 

특히 D를 끝까지 플레이 하지 않은 필자는 MX의 전개를 보며 그런느낌을 크게 받았습니다. 건담 대신 게슈펜스트가 나올뿐 이야기는 똑같거든요......앞으로 필자에게는 이 부분이 계속 거슬릴듯 합니다.

 

결론.....뭐 결론이 필요한가요??? 그냥 사라...하나 더 사라...이게 답이죠.....슈로대는 불만이 있든 없든 그냥 사서 하는게 진리....거창하게 시작해서 허무하게 끝나는 감상이군요;;

Posted by 슷헵하니
,

....간만에 돌아온 만화감상...본게 10권이라면 갱신을 안하는 사이 절반정도는 이미 뇌리에서 사라짐;;;

 

 

1. 암살교실 2권

.......새로운 등장인물(여)이 나오고, 웬지 악역같은 이사장도 등장했습니다만.........암살쇼를 제외하고는 다른 학원물과 별 차이점이 없어서 별로군요;; 역시 네우로가 갑이라는....

 

2. 클레이모어 23권

흠....23권에서는 아직 묘사가 안됬습니다만...23권 이후 연재를 보면 주인공 클레어가 꼬붕 리키와 재회하고 묘하게 리키에게 집착하는듯한 장면이 있습니다....이게 과연 복선일지....아니면 통수의 통수를 치는 평범한 묘사일지......

 

3. 마테리얼 폴카 1화

......중2병 냄새가 진동을 하는 도입부입니다만.....여기까지 키워놓고 어떻게 진행해 나갈지 오히려 궁금해지는 작품

 

4. かみさまドロップ  2화

직역하면 신드롭;; 여하튼 2화에서는 기대에 어긋나지 않은 전개가 나오는군요;; 잠깐 흐름을 소개하자면

1화: 갑툭튀한 신이 인간을 다 죽이려고 함

2화: 아빠가 나와 이년이 돌았나.....하면서 신의 힘을 봉인....고로 최초에 조우한 주인공과 동거시작....

ㅋ뭐 전형적이죠???

 

5. 겟타로보 다크네스 3권

.....이상한 료마, 요상한 하야토, 여자 무사시.....가 나오는 겟타로보...워낙 허접하니 아는사람도 별 없을듯?? 만화책 1권보는데 약 3분정도 걸린것도 오랜만이더군요;;

 

6. 죄수 리쿠 1~5권

......근미래....정의바보 주인공이 누명을 쓰고 감방에 가서 벌어지는 이야기....필자가 가장 싫어하는 타입의 주인공이죠. 정의바보+좆꼬마.....

 

이것들 말고도 나름 감상한 작품들이 많은데....기억이 안나네요;;;;ㅋ

 

 

Posted by 슷헵하니
,

타이틀화면의 경우 2차원, 즉 상상력으로 태어난 전자계집이 학교를 배경으로 섹시하게 입고있으면 범죄라고 주장하며 게거품 처무는 정신나간 할마시들때문에 생략합니다.

 

각설하고 정말 오랜만에 우리곁을 다시 찾아온 엑스체인지 시리즈의 최신작!! 엑스체인지 EX입니다.

이번 작품은 엑스체인지시리즈에 있어서 큰 의미를 가지는데요, 바로 이전 작품은 얼터네이티브2가  TS물이 아닌 정신교환물이었기 때문이죠. 즉 이번작품은 초심으로의 귀환이라고 볼수있겠네요......

 

소개는 거창하지만 그저그런 미연시;; 아니...오히려 전작인 엑스체인지 2나 3보다 못하다고 봅니다. 그럼 언제나처럼 나가봅시다.

 

스토리는 엑스체인지의 왕도, 실험에 의해 주인공이 여체화 되면서 돌아가기위해 노력하지만 중간중간 여자의 쾌락을 충분히 즐기는 내용입니다. 결국 돌아갈지 말지를 택하게 되죠......워낙 차이점이 없는 수준이라 그냥 넘어가고

 

1. 전개

.......상당히 불만입니다. 크게 여2, 남2의 구성으로 실제 연인이 되는 남녀, 그냥 H신 담당 남녀...이런 구조인데....여기서 끝;;;;; 관광이나 갱뱅등 과격하다면 과격한 신이 하나도 없네요;; 전작의 주인공인 타쿠미양..이 얼마나 개처럼 굴렀는지를 보면 이번 작품의 주인공은 거의 귀족취급입니다.

 

그리고 왜 이야기가 이리 허접합니까.....시나리오 작가가 태업이라도 한겁니까??

여체화된 주인공+소꿉친구(여)+주인공에게 호감을 품은 쿨한 츤데레 남+여체화된 주인공을 보고 당혹해하는 절친+색기담당 양호선생+학교라는 배경......이정도면 글쓰는게 밥벌이인 사람에게 맞기면 분량 상당히 뽑지 않을까요?? 대체 뭐하는데???

 

게다가 주인공이 여체화되면서 겪는 정신적인 부분을 너무나도 소흘하게 넘긴것도 감점요인입니다. 원래 TS장르란 여체화된후 육체의 차이에서 오는 정신적 공황, 성적인 쾌감을 맞보며 이성과 본능사이에서 갈등하는 모습이 매력포인트인데 에잉....ㅉㅉㅉㅉ

 

2. H신

신 자체는 나쁘지 않습니다. 성우도 괜찮고...그림체가 많이 육덕지게 느껴지지만 호불호가 갈릴수준은 아닙니다. 또한 길이도 괜찮습니다.....문제는 심심하다는거.....대부분의 경우가 그냥 평범한 플레이라......미연시를 즐기는 사람이 스토리물은 당연하고 뽕빨물도 같이 즐긴다는 점을 고려해봤을때...이건 뭐...김빠진 콜라수준이죠

 

결론.....이번 작품은 엑스체인지의 최신작이라는데만 의의가 있습니다. 그것외에는 별로........이걸 플레이 할 바에는 그냥 예전작인 3를 하는게 더 낫겠군요......TS물에 거부감이 없거나 나름 선호하는 장르라면 당연히 해야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비추입니다....ㅋ

 

ps. 다음 플레이예정작은 간염 볼 컷터입니다.....이상하게 간염시리즈로 들어오는 사람은 많은데 이 검색어가 안보이네요;; 글고 이번 라이어 소프트의 신작 여주인공 성우가 히카루더군요....아놔...이사람은 무게잡는 캐릭, 조용하게 조근조근말하는 캐릭에게는 정말 안어울려요.....칠흑의 샤르노스 주인공을 이목소리로 한다고 상상하면 정말깨죠...그런느낌??? 

 

Posted by 슷헵하니
,